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가치주2

금리 상승은 성장주 하락? 최근 미 국채의 금리가 오르며 나스닥(성장주 중심)은 하락했으나 다우지수(가치주 많음)는 상승했다. 여기에 관계가 있을까? 가치주, 성장주의 대표적인 특징은 부채, 즉 대출이라 할 수 있다. 보통 대출이 많으면 성장주, 적으면 가치주다. 간단히 말하면, 가치주는 부자가 되기 위해 돈을 아껴 차곡차곡 모은다. 성장주는 빚을 내는 한이 있더라도 크게 투자한다. 금리가 낮을 때는 누가 시장에서 주목을 받을까? 성장주다. 금리가 낮으면 은행에 예금을 맡겨도 이자가 적다. 이런 상황이라면 이자로 벌어들이는 이익보다 물가상승률이 커질 수 있다. 예금을 들었는데 내 자산가치가 하락하는 상황이다. 은행에 돈을 맡겨놓으면 점점 사라진다는 것이다! 이럴 때는 사람들이 예금 대신 주식이나 부동산 등 다른 투자처를 찾는다. .. 2021. 3. 1.
가치주와 성장주 먼저 가치주와 성장주의 구분은 어떻게 할까? 학술적으로는 PBR을 기준으로 하위 50%를 가치주, 상위 50%를 성장주로 정의한다. 하지만 학문과 현실은 거리가 있는 법. 적당한 기준이 필요하다. 대표적인 특징을 통해 대략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럼 각각의 특징은 무엇일까? 가치주는 이미 성장이 끝난 주식이라 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 은행, 식음료, 담배 등이 있다. 오래 되었고 기록적인 성장이 없으며 배당이 많고 대출이 적고 현금이 많은 산업이다. 주로 흑자를 많이 보고 PER과 PBR은 낮은데 주가는 크게 움직이지 않는다. 가치주는 기업 가치에 비해 현재 주가가 낮은 경우라고 보기도 한다. 만약 1억짜리 기업을 1억도 안 되는 가격에 살 수 있다면, 사지 않을 이유가 없지 않을까? 이것이 가치투자다.. 2021. 2. 27.
728x90
반응형